😁 배운 내용 RESTful API의 개념과 등장한 이유를 조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. 지금까지 개발 공부를 하면서 가장 효과적이었던 방법은 왜 해당 기술이 등장했는지 이해하고, 그 기술을 다시금 바라봤을 때 조금 더 친숙해지고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. 사실 처음 RESTful API에 대해서 찾아봤을 때는 꽤 막막했습니다. 설명하는 글들 대부분이 추상적으로 다가왔고, RESTful한것과 not RESTful 한 것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웠습니다. 많은 아티클을 읽고, 여러 정보를 찾아보면서 내가 이해한 언어로 하나씩 풀어가면서 조금씩 이해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. 아직 완벽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, 해당 개념을 이해하는데 좋은 포문을 연 것 같습니다. HTTP 통신을 다시 찾아보면서 새로운 개념을 얻는 ..
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-Step - 박재성 저자 책으로 스터디를 하며 진행했던 내용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 5주차에 진행했던 Chapter 08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. Chapter 08: Ajax를 활용한 새로고침 없는 데이터 갱신 및 MVC 컨트롤러 리팩토링(View, Model, ModelAndView) 모든 코드들은 다음 저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https://github.com/Java-web-programming-Next-Step/next-step-web-programming/tree/HiiWee/8 프로젝트명: jwp-basic-gradle 📌 5주차 8장 ✅ 8.1 질문/답변 게시판 구현 기능 목록 정의하기 우테코에서 배웠던 것처럼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..
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-Step - 박재성 저자 책으로 스터디를 하며 진행했던 내용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 4주차에 진행했던 Chapter 07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. Chapter 07: JDBC API를 통해 DB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영구저장 + JDBC API의 중복을 줄인 JdbcTemplate 만들기 모든 코드들은 다음 저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https://github.com/Java-web-programming-Next-Step/next-step-web-programming/tree/HiiWee/7 프로젝트명: jwp-basic-gradle 📌 4주차 7장 ✅ 더 구체적인 Unchecked Exception을 던지자! 7장 미션을 진행 과정에서 SQL 코드를 작성할때 User..
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-Step - 박재성 저자 책으로 스터디를 하며 진행했던 내용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 3주차에 진행했던 Chapter 06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. Chapter 06: 서블릿/JSP를 활용해 동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및 MVC 프레임워크 구현하기 모든 코드들은 다음 저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https://github.com/Java-web-programming-Next-Step/next-step-web-programming/tree/HiiWee/6 프로젝트명: jwp-basic-gradle 추가로 세션 구현에 해당되는 6.2 ~ 6.3절은 web-application-server-gradle에서 진행했습니다. 📌 3주차 6장 🛑 이슈 목록 style.css 미적용 이슈..
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-Step - 박재성 저자 책으로 스터디를 하며 진행했던 내용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 2주차에 진행했던 Chapter 05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. Chapter 05: Ch04에서 진행한 웹 서버 리팩토링 및 서블릿 컨테이너와 서블릿의 관계 이해하기 모든 코드들은 다음 저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https://github.com/Java-web-programming-Next-Step/next-step-web-programming/tree/HiiWee/5 프로젝트명: web-application-server-gradle ✅ 5.1.2.1 요청 데이터를 처리하는 로직을 별도의 클래스로 분리한다. (HttpRequest) (이슈❗️) 이슈❗️ BufferedReader를 c..
목표 자바의 열거형에 대해 학습하세요. 학습할 것 enum 정의하는 방법 enum이 제공하는 메소드 (values()와 valueOf()) java.lang.Enum EnumSet Enum의 이해 열거형을 소개하기 앞서 Enum에 대해 이해를 해봅시다. 열거형은 서로 관련된 상수를 편리하게 선언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상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면 유용하다. C언어에서도 열거형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, Java에서의 열거형은 열거형의 값 뿐만 아니라 타입도 관리하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기능을 제공해주고, 보다 논리적인 오류를 줄일 수 있다. 자바에서의 열거형은 타입까지 관리해준다. 그렇다면 타입을 관리하여 얻는 이점은 무엇일까? package enumeration; class Card1 { static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