😁 배운 내용
✔︎ Plain jar vs Executable jar
현재 프로젝트를 빌드하게 되면 2개의 jar파일이 생성된다.
Plain jar는 현재 작성한 소스코드에 대한 클래스 및 리소스 파일만을 포함한다.
따라서 의존성을 포함시켰더라도 당장 사용하지 않으면 plain jar는 포함되지 않는다.
배포를 해야한다면 plain.jar를 배포하는일은 없도록 해야한다!
✔︎ Java의 jar
내용이 많아 별도로 포스팅 jar 파일이란?
✏️ 미션 제출
제출 코드는 PR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DAY3 Pull Request
✔︎ 빌드 이후 jar 파일 실행하기
- 빌드 이후 jar 파일 실행
- http://localhost:8080 접속시 정상 접속 확인
✔︎ api 생성하기
- 문자열 리턴 GET api 생성하기
- query paramter로 입력받은 값 리턴하는 GET api 생성
- lombok을 통한 로그 출력
🤔 드는 생각들
위 글을 보면서 들었던 생각입니다!
A형 인간: 30 ~ 50%정도 이해하고 하던 것들을 서둘러 진행할 수 있는 사람
B형 인간: 개념적인 것들을 적어도 90%는 이해하고 공부하고 진행할 수 있는 사람
저는 개인적으로 A형 포지션에서 잘 활약하지 못합니다 ㅠ
무엇인가 모르고 넘어가면 불안한 마음과 불편한 마음이 마음속에서 올라옵니다. 정도가 심해지면 혼자서 멘탈이 바사삭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. 🙄
개발이라는 분야는 모든것을 다 알고 하기에는 너무나 벅차다는것을 잘 알고있지만, 그럼에도 A형인간이 되는길은 어렵기만 합니다.
천성이 이런걸 어떡해? 라고 생각하고 무시한적도 있지만, B형으로 살아오다보니 시간대비 효율이 너무 적다는게 체감이 됩니다. 공부도 애자일하게 해야하는데 벅찬 느낌이 강하네요 🙃